성남 문화예술 이야기

성남문화원 소개(2023)

성남사랑방 2023. 9. 7. 14:07

[개설]

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해 시··구 단위에 설립되는 특별법인이다. 향토사 연구, 문화교육 등 전통 문화의 발굴·보존과 각종 문화행사를 주최하는 등 지역 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 문화사업을 수행하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방문화원을 지원해야 한다.

 

[설립목적]

성남문화원은 성남시 지역문화의 계발연구조사 및 문화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변천]

성남문화원은 197875일 문예진흥법에 의거하여 문화공보부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았고, 초대 원장으로 조명천이 취임했고, 이후 역대 원장으로는 권기흥 이용상, 이창열, 이형하, 오세순, 남선우, 한춘섭 원장이 역임했다.

 

1980930일 사단법인 성남문화원으로 설립 허가를 받았다. 198214일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서 성남시민회관[현 성남아트리움] 2층으로 사무실을 이전하였고, 19851222일 수정구 신흥1동에 있는 반공회관으로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19939월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현 성남학연구소]를 개소했다.

 

1994818일 지방문화원진흥법에 따라 특별법인 성남문화원 창립총회를 개최하였고, 같은 해 97일 제193호 성남문화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61025일 분당구 이매동농업기술센터로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199611월 부설 문화대학을 개설하였고, 19979월 부설 예덕관을 개설하였다. 19999월 문화관광부로부터 문화학교로 지정 받았다.

 

2004121일 성남문화의 집 위탁 사업자로 선정되어 현재의 수정구 신흥동으로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200791일 서현문화의 집 위탁 사업자로 선정,  2016. 12. 21. 성남시 조례 제3055성남문화원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제정, 201874'성남문화원 개원 40주년 기념식 및 40년사출판 기념식', 201412월에는 성남시 40년사 편찬사업을 위탁받아 발간 한 바 있으며, 2011년 대한민국 문화원상 연속 3년간 수상, 경기도문화예술진흥 경기도지사우수기관 표창, 2015 경기도문화원 어워드 우수문화원으로 기관 표창을 받았다.

 

이외, 성남시로부터 <성남문화의 집><수내동 고가>, <시사편찬실>, <성남3·1만세운동기념탑>을 위탁 운영 관리하며, 성남시 전통문화 총본산의 위상을 대내외에 널리 홍보하고 있다.

 

[주요사업과 업무]

성남문화원은 성남 지역의 고유문화의 계발·보급·보존·전승 및 선양, 향토사의 발굴·조사·연구 및 사료의 수집과 보존, 지역 문화 행사의 개최, 성남 지역 문화에 관한 자료의 수집·보존 및 보급, 지역 전통 문화의 국내외 교류, 지역 문화에 관한 사회 교육 활동 등 지역 환경 보존 등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문화 활동, 지역 문화의 창달을 위한 사업으로 ,2023년 현재 아래 수행하고 있다.

 

[활동사항]

성남학연구소 운영

문화학교 운영

21, 정월대보름맞이민속놀이

28, 학술회의개최

32,성남사랑글짓기대회

26, 강정일당상시상

104주년, 성남3·1만세운동 기념식

2024새해,천제봉행

향토유적지순례

29, 개천절 단군제 및 도당굿

18, 둔촌백일장

판교 쌍용거줄다리기 재연

내 고장 바로알기

경기도민속예술제 참가

성남학아카데미

(위탁)수내동가옥 관리 , (위탁)시사편찬실

 

부설) 성남학 연구소는, 1993.9.20에 개소하여 올해로 30주년을 맞게 되며 지난 29년 동안, <성남문화연구>(29) 발간, 학술회의(26), 학술토론회(13) 개최, 성남학아카데미, 인문학아카데미 등 지역 정체성을 찾는 학술활동에 있어 12명의 연구위원 교수팀이 수행하여 온 연구성과 논문 370여편이 있음.

 

부설) 문화학교는, 각 강좌별 전문 강사를 공개 채용하여, 2023년도 제28기는 가야금, 문인화, 풍물 등 10개 강좌(16개반)를 주1(2시간) 32주를 강의 운영하며, 지난 27년간 약 4,837여명의 성남문화 가족 배출

 

ㅇ향토문화재 지정 청원 현황

정일당 강씨 묘, 둔촌 이집 선생 묘, 송산 조견 선생 묘, 금릉 남공철 묘역, 연성군 이곤 묘비, 광주이씨 묘역군, 신종군 이효백 묘역, 청주한씨 청연공파 율동묘역, 덕수이씨 의정공파 묘역, 평양조씨 석실공 조철산 묘역, 민속놀이 성남 이무술 집터 다지는 소리 , 성남 오리뜰 농악, 전주이씨 덕양군파 이순제 묘역

 

성남문화원은

이 외에도 (부설) 성남3·1운동기념사업회, 판교쌍용거줄다리기보존회, 시사편찬실을 운영하며, 애국선열 추모 사업, 성남문화해설사 양성, 천림산 봉수 원형 보존 사업, 성남 세거문중 문화사업, 성남시 국제자매도시 심양시에서 둔촌중국백일장 등의 국제문화 교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황]

성남문화원은 20236월 현재 현재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에 위치한 성남문화의 집에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김대진 원장을 비롯하여 임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